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영상)
오후 8시 6분 기준
최대 높이 동해 묵호 67㎝
"더 높은 파고 도달할 수도"

1일 일본 이시카와현에서 발생한 규모 7.6의 강진으로 동해안에서도 지진해일(쓰나미)이 관측되고 있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 8시 6분까지 최대 높이 67㎝(동해 묵호)의 지진해일이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강원 속초에서 41㎝, 삼척 임원은 30㎝, 강릉 남항진 20㎝, 경북 울진 후포는 18㎝의 지진해일이 관측됐다.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동해안엔 더 높은 파고가 24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기상청은 "지진해일은 최초 도달 이후 더 높은 파고가 도달할 수 있으며, 24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으므로 추가정보를 확인 바란다"고 밝혔다. 지진해일의 높이는 조석에 의한 해수면 상승을 포함하지 않아 실제 파고는 더 높을 수 있다.
이날 오후 4시 10분쯤 일본 혼슈 도야마현 도야마시 북쪽 90㎞ 해역에서 규모 7.6의 지진이 발생했다. 일본에서 진도 7의 지진이 관측된 것은 2018년 이래 처음이다.

오후 6시 넘어 발생.."24시간 이상 지속될 수도"

기상청은 1일 오후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能登)반도 북쪽 해역 강진으로 발생한 지진해일(쓰나미)이 동해안에서 관측되고 있다고 밝혔다.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동해안 내 지역별 지진해일 높이(최초 도달시점)는 강원 강릉 남항진 20㎝(오후 6시 1분), 동해 묵호 67㎝(오후 6시 6분), 속초 41㎝(오후 6시 10분), 삼척 임원항 24㎝(오후 6시 15분), 후포 18㎝(오후 6시 52분) 등이다.
오후 8시 6분 기준으로 도달 이후 지진해일의 최대 높이는 묵호(67㎝)에서 측정됐다. 앞서 오후 6시 50분께 기상청은 묵호 45㎝, 속초 30㎝, 임원 24㎝라고 발표했으나 이후 지진해일 높이가 더욱 높게 측정되며 위와 같이 관측 정보를 수정해 발표했다.




한편 기상청이 관측한 지진해일 높이는 '지진해일 파고'만의 높이로 조석이나 기상조 등에 따른 조위(조수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해수면 높이)가 반영되지 않은 수치다. 다시 말해 해당 수치보다 체감되는 위험이 더 클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동해안은 일본발 지진해일이 아니더라도 이미 너울로 인해 갯바위나 방파제를 넘을 정도로 높은 물결이 밀려오는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만조 때 지진해일까지 밀려오면 매우 위험할 수 있다.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기상청은 "처음 도달한 지진해일보다 파고가 높은 해일이 뒤이어 도달할 수 있고 24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다"라며 "추가 정보를 확인해달라"라고 당부했다.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한편 이날 오후 4시 10분께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能登) 반도 지역에서 추정 규모 최대 7.6의 지진이 발생했다. 강진에 일본 기상청은 이시카와현뿐만 아니라 야마가타, 니가타, 도야마, 후쿠이, 효고현 등 동해를 접한 일본 북부 연안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관영 라디오 조선중앙방송에 따르면 북한 역시 이날 오후 함경북도 해안에 지진해일 특급경보, 함경남도·강원도·나선시 해안에 지진해일 중급경보를 발령한 상태다.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동해 지진 해일 쓰나미 묵호항





